네트워크 계층 (OSI 7 Layer와 TCP/IP Layer)
컴퓨터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모델을 따르는데요.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가지 모델인 OSI 7계층 모델과 TCP/IP 계층 모델의 핵심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OSI 7계층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
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의 세부 계층으로 나누는 방식으로,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입니다.
계층 | 이름 | 주요 역할 |
7 | 응용 계층 (Application) |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(HTTP, FTP, SMTP 등) |
6 | 표현 계층 (Presentation) | 데이터 표현, 압축, 암호화 |
5 | 세션 계층 (Session) | 연결 관리, 세션 유지 및 종료 |
4 | 전송 계층 (Transport) | 종단 간 신뢰성 있는 전송/빠른 비신뢰성 전송을 모두 제공 (TCP/UDP) |
3 | 네트워크 계층 (Network) | 라우팅, 논리 주소 지정 (IP 프로토콜) |
2 |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) | 물리적 주소 지정(MAC), 오류 감지 및 수정 |
1 | 물리 계층 (Physical) | 실제 전기적 신호 전송 (케이블, 허브 등) |
TCP/IP 계층
인터넷의 근간이 되는 TCP/IP를 기준으로 하여, 네트워크 통신을 보다 간단히 4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하는 방식입니다.
계층 | 이름 | 주요 역할 |
4 | 응용 계층 (Application) | HTTP, FTP, DNS, SMTP 등 사용자 서비스 |
3 | 전송 계층 (Transport) | TCP, UDP를 통해 종단 간 통신 |
2 | 인터넷 계층 (Internet) | I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전송 및 라우팅 |
1 |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(Network Access) | 물리적 장치 간 데이터 전송 및 오류 관리 (이더넷, MAC 주소 관리) |
OSI vs TCP/IP
OSI 모델은 이론적이고 교육적인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는데요. 곧 각 계층의 역할을 명확하게 나누어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는 데 적합합니다. 반면 TCP/IP 모델은 실제 인터넷 프로토콜의 구현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, 실무적이고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많이 쓰입니다.
정리하자면, 네트워크를 강의나 수업 등 이론적으로 설명할 때는 7계층으로 세분화된 OSI 모델이 적합하고, 실제 개발 환경이나 인터넷 프로토콜을 다룰 때는 4계층 구조의 TCP/IP 모델이 더 실용적으로 활용됩니다.
마치면서
이러한 네트워크 계층 구조는 각 계층이 독립적이고 유연하게 운영되도록 하며, 특정 계층의 문제나 기술 변화가 다른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.
우리가 이더넷 대신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환경으로 바꾸게 되더라도 그 위의 IP, TCP, HTTP 등 상위 계층은 아무것도 바꿀 필요가 없는 것처럼 말이죠. 이러한 계층적 설계 덕분에 네트워크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.
'크래프톤 정글 > CS기초(키워드, 개념정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기초] 소켓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정리 (socket, connect, bind, listen, accept) (0) | 2025.05.04 |
---|---|
[CS기초]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(Client-Server Model) (0) | 2025.05.04 |
[CS기초] 만화로 보는 Implicit vs Explicit free list을 구분하는 방식 (0) | 2025.05.01 |
[중간정리] 7주차 -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, 메모리 할당 정책, DMA, C언어(포인터), 힙 정렬 (0) | 2025.04.29 |
[CS기초] 7주차 개념 정리 (0) | 2025.04.29 |